티스토리 뷰
주로 사용하는 윈도우 명령어를 봅시다.
맨 먼저, CLI를 위한 cmd.exe를 실행해야 합니다.
윈도우 키 + R > cmd.exe 입력
<< 주요 명령 >>
dir : 파일 목록을 조회할 때 사용합니다.
- /A: 표시할 항목의 속성을 지정합니다.
- /A:D: 디렉토리만 표시
- /A:-D: 파일만 표시
- /B: 간결한 형식으로 파일 및 디렉토리 이름만 표시합니다.
- /C: 파일 크기의 천 단위 구분 기호(,)를 사용하여 표시합니다.
- /D: 디렉토리 목록을 정렬하여 세로로 표시합니다.
- /L: 파일 및 디렉토리 이름을 소문자로 표시합니다.
- /N: 파일 및 디렉토리 이름을 파일 및 디렉토리 번호로 표시합니다.
- /O: 파일 목록을 정렬합니다.
- /O:N: 파일 이름순으로 정렬
- /O:D: 수정된 날짜 역순으로 정렬
- /O:S: 파일 크기순으로 정렬
- /P: 페이지 단위로 출력합니다. (화면이 너무 길 경우 페이지마다 일부 내용을 표시)
- /Q: 파일 및 디렉토리 이름에 큰따옴표(")를 추가합니다.
- /R: 하위 디렉토리의 파일 및 디렉토리를 표시합니다.
- /S: 현재 디렉토리 및 하위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 및 디렉토리를 표시합니다.
- /T: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작성된 날짜 또는 수정된 날짜를 기준으로 정렬합니다.
- /T:C: 생성된 날짜로 정렬
- /T:A: 접근한 날짜로 정렬
- /W: 넓은 형식으로 파일 및 디렉토리를 표시합니다.
- /X: 8.3 형식 파일 이름을 표시합니다.
type : 파일 내용을 출력합니다.
ex) type a.txt #=> a.txt를 한꺼번에 출력
type 명령은 간단한 텍스트 파일을 화면에 표시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므로 다양한 옵션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추가적인 텍스트 처리 또는 필터링 작업을 수행하려면 다른 명령과 함께 사용(파이프)하거나 리디렉션을 활용해야합니다 (이 개념은 뒷부순에 별도로 설명).
type을 실행하면 전체 내용을 한번에 출력하므로 조금씩 끊어 읽으려면 more 명령을 사용한다.
more: 파일을 화면 페이지단위로 읽기
ex) more a.txt
sort: 텍스트를 알파벳 순서로 정렬합니다.
findstr: 파일에서 텍스트를 검색
ex) findstr "apple" a.txt
이 정도만 사용할 수 있어도 cmd.exe에서 파일을 확인하고(dir), 내용을 보고(type, more), 필요한 문장을 검색(findstr)할 수 있습니다.